본문 바로가기
갤러리/미술사

한국 미술사 - 한국 미술사의 발전 (남북국 시대 - 조선 시대)

by 차근 차근 한걸음 2024. 7. 6.
반응형

남북국 시대의 유적과 문화

남북국 시대는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정복한 후부터 신라가 고려에 항복한 935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에는 한반도에서 다양한 문화적 발전과 유적들이 형성되었다.

 

1. 통일 신라 시대의 대표적 유적

불국사와 석굴암: 통일 신라 시대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지로, 불국사와 석굴암이 있다.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으로 유명한 유적으로, 한반도의 석탑 양식을 대표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석굴암: 인공적으로 조성된 동굴로, 화강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된 것으로, 본존불을 비롯한 많은 불상이 그 특징.

경주의 불상과 석탑들: 경주 남산 지역에는 다양한 불상과 석탑들이 있으며, 이들은 신라시대의 불교 예술과 신라 왕국의 번영을 보여준다.

경주는 현재 경주역사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2. 발해의 문화적 유적

발해: 고구려 출신의 유민들이 주도한 국가로, 발해는 특히 유민과 말갈계통 민족들이 피지배계층을 구성했다.

룽터우 산 고분군: 발해를 대표하는 유적 중 하나로, 정효공주묘가 있다.

정효공주묘에는 벽화로 인물들의 모습이 표현되어 있어, 당시 발해의 문화와 사회적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남북국 시대는 한반도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신라의 통일과 발해의 성장 등 다양한 문화적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특히 불국사와 석굴암 같은 유적들은 당시의 불교 문화와 예술을 잘 보존하고 있어, 우리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고려시대의 문화와 미술

고려왕조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지속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다양한 문화적 발전과 미술적 창조가 일어났다.

 

1. 고려 청자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미술 중 하나로, 비취색(翡色, celadon green)을 뛴다. 고려 청자는 문벌 귀족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이 특징이다.

 

1050년 경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무신정권 말기인 1250년 경까지 제작되었니다.

도교의 영향을 받아 화려한 형태와 문양이 추가되었으며, 후기에는 청자비룡형 주전자와 같은 복잡한 동물 모양의 작품이 나타났다.

 

고려 청자는 주로 국내에서 소비되었으며, 지금의 전라남도 지역에서 생산되어 개경(경주)으로 운반되다.

외국 상인들은 주로 송나라나 원나라의 백자를 교역의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2. 고려불화

고려 시대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주로 아미타여래와 관세음보살 등이 소재로 사용되었다.

세밀한 붓터치와 반투명한 색 묘사가 특징이며, 서방정토신앙과 관련된 구원사상을 표현했다.

 

고려 후기에는 왜구에 의해 많은 불화들이 약탈되었지만, 현재는 외국의 미술관에 많이 소장되어 있다.

 

3. 서민들의 미륵신앙

고려시대 하층민들은 주로 미륵신앙을 믿었으며, 이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에서 잘 볼 수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화강암으로 조각된 이 보살은 당시 서민들이 선호했던 강한 위압감과 토속적인 믿음을 반영한다.

 

고려시대는 문벌 귀족들과 서민들 간의 문화적 차이를 반영한 미술 작품들이 많이 남아 있으며, 특히 청자와 불화는 고려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화와 미술

조선 시대는 성리학의 영향을 받아 유교적인 사상이 국가적 정책으로 제도화되는 시기였다.

이로 인해 사회적 질서와 국가의 윤리적 기준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정서는 문화와 예술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성리학과 숭유억불 정책

성리학은 사람 사이의 질서와 도덕적 행동을 중시하는 유교 사상으로, 조선 시대 양반 사대부들 사이에서 주로 수용되었다. 숭유억불 정책은 성리학의 원칙을 따라 사회적 장서(長者)가 되어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며 자신의 도덕적 의무를 다하는 것을 강조한 정책이다.

 

문인화와 민화

조선시대 미술에서는 화려한 채색보다는 중국 문인화의 영향이 강조되었다. 문인화는 유교적 이념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주로 양반 사대부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유교적 주제나 자연 풍경을 다루며, 심미적인 가치와 도덕적 가치를 함께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불화와 도자기

불화는 조선 전기에는 화려했던 고려시대와는 달리 도식화되기 시작했다.

이는 무속신앙의 영향을 받아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무속적인 요소들이 사찰에 봉안되기도 했다.

도자기 역시 분청사기에서 백자로의 전환을 거쳐 조선 후기로 들어서면서 기법과 스타일이 발전하게 되었다.

 

중흥기와 정선의 작품

조선 중후기에는 정선이라는 화가가 옛 중국 그림을 모방하는 대신 실제 경치를 보고 그리는 진경산수화를 주류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이는 그의 작품이 자연의 아름다움과 조선 사람들의 삶의 실제를 담아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조선 시대의 미술은 유교적 사상과 국가적 정책의 영향을 받아 질서와 도덕을 중시하는 문화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양반 사대부들의 취향이 문인화와 수묵화로 향하면서 전통적인 가치와 도덕적 행위의 중요성이 미술 작품에 반영되었다.

동시에 무속신앙의 영향이 불화와 도자기에도 미치며, 이는 조선 시대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보여준다.

 

 

1. 안견의 몽유도원도

작품: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조선 초기 회화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

중국 산수화 기법의 영향을 받았으며, 도원경을 소재로 하여 바위와 수목을 도식적으로 표현했다.

특징: 화려한 채색보다는 수묵화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는 명나라 동기창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동기창은 북종화(북쪽 이민족의 그림)를 선호하며 수묵화를 남종화(중국 민족의 그림)로 구분했다.

2. 김홍도와 서당

김홍도: 김홍도는 당시 서민들의 풍속을 익살스럽게 그린 필채 화가로,

그의 작품들은 당시 사회적 상황을 재미있게 반영하고 있다.

서당: 단원풍속도첩의 일부로, 서당은 조선시대의 학문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

3. 신윤복의 미인도

신윤복: 양반 사대부들의 향락 생활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당시 사대부들의 생활양식과 풍속을 담고 있다.

4. 불화와 도자기

불화: 불교 불화는 점차 도식화되고 무속적인 요소를 받아들여 화려한 색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동양적 미학과 무속신앙의 결합을 보여준다.

도자기: 조선 초기에는 분청사기가 주로 만들어졌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백자가 중심이 되었다.

특히 백자는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기법이 발전하게 되었다.

5. 문인화와 민화

문인화: 양반 사대부 사이에서는 문인화가 유행하였으며, 주로 유교적 주제나 자연 풍경을 다룬다.

민화: 일반 서민들을 대상으로 한 민화도 발전하였으며, 당시의 일상 생활과 사회적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다.

 

조선시대의 미술은 유교적 이념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중후기에는 고유의 독특한 스타일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수묵화와 단순하고 우아한 미의 추구는 조선 문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반응형